Friday, May 01, 2015

[Words] from Korea SKEPTIC Vol. 1

그러나 과학의 영역에서 '사실'은 확정적인 것이 아니라 잠정적인 것이며 시험에 열려 있다. 따라서 회의주의란 잠정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한 방법일 뿐이다. (p3)

by Harriet Hall
과학은 몸과 마음을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마음이 뇌의 기능이라고 여길 뿐이다. .... 과학에서 의식은 뇌 세포가 죽으면 중단되는, 뇌세포 각각의 부수 현상이라고 여겨진다. (p14)

by Andrew Bernardin
뉴턴의 우주에서 속도는 상대적인 반면 시간은 절대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우주에서는 빛의 속도라는 단 하나의 속도만 절대적이고, 시간은 상대적인 것이 되었다. (p76)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거리의 측정치를 시간의 측정치로 나눈 값)가 불변량이 되려면 무언가가 탄력 있게 변해야 함을 알았다. ... 즉, 시간은 상대적이다 (공간도 마찬가지지만, 경우가 다르다). 달리 표현하자면 아인슈타인은 각각의 기준틀이 자신만의 시계를 가지고 있고, 이 시계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특히, 시계는 특정 조건 아래서는 속도가 느려진다. 특수상대성이론에서 그는 운동, 혹은 속도가 시간의 측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했다. 그리고 일반상대성이론에서는 중력과 가속 또한 시간의 측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설명했다. (p81)

No comments: